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Lab에서 GitHub으로 리포지토리를 미러링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프로젝트를 관리하거나 협업 환경을 GitHub으로 이전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GitLab과 GitHub의 기본적인 차이점부터 실제 미러링 과정까지 단계별로 안내해 드립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각 단계별 명령어와 설정 방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저희 프로젝트는 다양한 협업 도구와 플랫폼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GitLab에서 GitHub으로의 원활한 이전 과정을 경험해보세요!
목차
- GitHub에서 Private 리포지토리 생성
- GitLab 리포지토리 미러링을 위한 클론
- 클론한 폴더로 이동
- GitHub으로 미러링 푸시
- GitHub 설정에서 Default Branch 확인 및 변경
- 추가 팁 및 참고 자료
1. GitHub에서 Private 리포지토리 생성
먼저, GitHub에서 미러링할 대상인 Private 리포지토리를 생성합니다. Private 리포지토리는 공개되지 않으며,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어 보안이 강화된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관리할 때 유용합니다.
1.1 GitHub 로그인
- GitHub에 접속하여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 오른쪽 상단의 + 아이콘을 클릭한 후 New repository를 선택합니다.
1.2 리포지토리 생성
- Repository name: 원하는 리포지토리 이름을 입력합니다. 예:
Arcana
. - Description: 리포지토리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추가합니다. (선택 사항)
- Privacy: Private을 선택하여 비공개 리포지토리를 생성합니다.
-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 초기화는 하지 않습니다. (기존 GitLab 리포지토리를 미러링하기 위해서는 초기화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하여 리포지토리를 생성합니다.

2. GitLab 리포지토리 미러링을 위한 클론
이제 GitLab에 존재하는 리포지토리를 미러링하기 위해 클론을 수행합니다. --mirror
옵션을 사용하면 모든 브랜치와 태그, 그리고 리모트 설정까지 포함한 완전한 미러링을 할 수 있습니다.
2.1 GitLab 리포지토리 클론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GitLab 리포지토리를 미러링 클론합니다:
git clone --mirror https://lab.ssafy.com/s11-final/S11P31D103.git
설명:
git clone --mirror
: 리포지토리의 모든 내용을 미러링하여 클론합니다.https://lab.ssafy.com/s11-final/S11P31D103.git
: 클론하려는 GitLab 리포지토리의 URL입니다.
클론이 완료되면 S11P31D103.git
이라는 폴더가 생성됩니다.
3. 클론한 폴더로 이동
클론한 리포지토리 폴더로 이동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합니다.
3.1 폴더 이동 명령어
cd S11P31D103.git
설명:
cd S11P31D103.git
: 클론한 리포지토리 폴더로 이동합니다.
이제 GitLab 리포지토리의 모든 내용이 로컬에 미러링되어 저장되었습니다.
4. GitHub으로 미러링 푸시
미러링된 리포지토리를 GitHub의 Private 리포지토리로 푸시하여 이전을 완료합니다.
4.1 GitHub 리포지토리로 푸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미러링된 리포지토리를 GitHub으로 푸시합니다:
git push --mirror https://github.com/422haha/Arcana.git
설명:
git push --mirror
: 모든 브랜치와 태그, 리모트 설정을 포함하여 푸시합니다.https://github.com/422haha/Arcana.git
: 푸시할 GitHub 리포지토리의 URL입니다.
주의 사항:
- GitHub 리포지토리는 미리 생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 푸시 과정에서 GitHub 계정의 인증 정보(아이디 및 패스워드 또는 토큰)를 입력해야 할 수 있습니다.
5. GitHub 설정에서 Default Branch 확인 및 변경
미러링이 완료된 후, GitHub 리포지토리의 기본 브랜치(Default Branch)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변경합니다. 기본 브랜치는 새로 푸시된 리포지토리에서 자동으로 설정되지만, 특정 브랜치를 기본으로 지정하고 싶을 경우 변경할 수 있습니다.
5.1 GitHub 리포지토리 접속
- 웹 브라우저에서 GitHub에 접속합니다.
- 422haha 사용자 계정의 Arcana 리포지토리를 엽니다.

5.2 기본 브랜치 확인 및 변경
- 리포지토리 메인 페이지에서 오른쪽 상단의 Settings 탭을 클릭합니다.
- 좌측 사이드바에서 Branches를 선택합니다.
- Default branch 섹션에서 현재 설정된 기본 브랜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기본 브랜치를 변경하고 싶다면 Change default branch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브랜치를 선택합니다.

설명:
- Default branch: 리포지토리의 기본 브랜치를 설정합니다. 새로운 풀 리퀘스트나 이슈가 생성될 때 기본적으로 참조되는 브랜치입니다.
- Change default branch: 기본 브랜치를 변경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Lab에서 GitHub으로 리포지토리를 미러링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드렸습니다. GitLab과 GitHub은 각각의 장점이 있으므로,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에 맞게 적절한 플랫폼을 선택하고, 원활한 이전 과정을 통해 효율적인 협업 환경을 구축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참고 자료:
주의 사항:
- 민감한 정보(비밀번호, API 키 등)는 절대로 공개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리포지토리 미러링 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백업을 권장드립니다.
-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보안 설정을 더욱 강화하고, 권한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이제 GitLab에서 GitHub으로의 리포지토리 미러링을 통해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협업 환경을 경험해보세요!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Merge, Rebase, Squash: 차이점과 적합한 사용 사례 비교 (3) | 2025.01.17 |
---|---|
Git Flow vs GitHub Flow vs GitLab Flow: 브랜치 전략의 차이점과 선택 가이드 (15) | 2025.01.10 |
Git 커밋 컨벤션 가이드: 협업을 위한 베스트 프랙티스 (5) | 2025.01.03 |
GitLab에서 GitHub로 미러링 시 민감 정보 안전하게 제거하기 (4) | 2024.11.20 |